- if if 조건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문을 실행시킵니다. >>> if 조건문: 실행문 특정 조건을 if 다음에 쓴 후 콜론(:)을 붙여준 후 줄바꿈하고 스페이스 바 네 번을 사용해 들여쓰기 해 준 뒤 실행문을 작성합니다. >>> x = 1 >>> if x == 1: print('x는 1입니다.') x는 1입니다. 변수 x에 1을 할당해준 후 x == 1 이라는 조건을 만족할 시 'x는 1입니다.' 라는 실행문을 실행하도록 했습니다. >>> x = 2 >>> if x == 1: print('x는 1입니다.') 만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실행문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else else문은 if문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을 때 출력될 다른 실행문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 x = 2 >>> ..
분류 전체보기
- 2차원 리스트 2차원 리스트란 말 그대로, 2차원에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list = [[10, 20], [30, 40], [50, 60]]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생성하면 그 위치를 2차원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list = [[10, 20], [30, 40], [50, 60]] 열0 열1 행0 10 20 행1 30 40 행2 50 60 이렇게 각 리스트의 요소는 2차원의 행과 열에 위치하게 됩니다. - 2차원 요소 접근법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행과 열의 인덱스에 접근합니다. >>> list = [[10, 20], [30, 40], [50, 60]] >>> list[0][0] 10 리스트[행의 인덱스(세로 인덱스)][열의 인덱스(가로 인덱스)]를 통해 원하는 요소에 접근할 수 ..
리스트 내포, 리스트 컴프리헨션이라고도 불리는 리스트 표현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은 리스트 안에 for 반복문과 if 조건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리스트 표현식이라고 하는데요, 이 리스트 표현식을 이용해 식을 좀 더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담은 리스트를 생성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a = [] >>> for i in range(10): a.append(i) >>> a [0, 1, 2, 3, 4] 빈 리스트 a를 생성한 후 for 반복문과 range를 사용해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append를 이용해 리스트에 넣어주면 됩니다. 이렇게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지만 리스트 표현식을 이용하면 한 문장으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a = [i..
- 리스트에 요소 추가 1. append >>> a = [10, 20, 30, 40] >>> a.append(50) >>> a [10, 20, 30, 40, 50] >>> a.append(30, 5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a.append(30, 50) TypeError: list.append() takes exactly one argument (2 given) 리스트명.append(요소)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요소 끝에 요소 하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오직 요소 하나만 추가할 수 있기에 요소 두개를 넣으면 위처럼 에러가 발생합니다. 2. extend >>> a = [10, 20, 30, 40] >>> a.extend([50, ..

파이썬의 자료형 중에는 시퀀스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여기서 시퀀스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일련의 에피소드들이 모여 하나의 영화가 만들어진다고 가정해보면, 각각의 에피소드들이 모인 영화의 요소들이 바로 시퀀스입니다. 예시처럼 각각의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시퀀스고 이런 시퀀스형식의 자료형이 바로 시퀀스 자료형이 되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각각의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이 바로 시퀀스 자료형이 되겠죠. 시퀀스 자료형으로 만든 객체를 시퀀스 객체라고 하며 시퀀스 객체 안에 들어있는 값들을 요소라고 부릅니다. - 시퀀스 자료형의 종류 시퀀스 자료형에는 리스트(list), 튜플(tuple), 레인지(range), 문자열(string)이 있습니다. a = [1, 2,..
input()은 사용자가 어떤 값을 입력하면 그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입니다. >>> a = input() input() 함수를 호출하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게 됩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면 이 값은 변수에 저장됩니다. >>> a = input() 1 >>> a '1' 사용자가 1을 입력하니 a안에 '1'이 들어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1이라는 숫자를 입력했는데 따옴표로 감싸져있는 문자열 '1'이 저장되었습니다. 이것은 input() 함수는 입력되는 모든 값을 문자열로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input() 함수의 괄호안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동안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지만 문자열을 넣어 사용자의 입력을 도울 수 있습니다. b = input('아이디를 입력..

다섯번째 궁금증 :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인터넷이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 대의 컴퓨터와 세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하는 통신망(network)입니다. 만약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이 통신망이 없다면 우리가 거의 매일 사용하는 sns, 메일, 웹사이트들은 무용지물이 되겠죠. 그렇다면 이 통신망은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세상에 두 대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두 대의 컴퓨터는 유선 케이블이나 무선 네트워크(Wifi, Bluetooth)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세상에는 두 대의 컴퓨터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10개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아주 많은 케이블과 네트워크가 필요할 것 입니다. 그림으로 보니 아주 ..
- 파이썬 변수 선언 방법 변수 이름 = 변수 값 a = 1 # 정수형 변수 선언 a = 1.0 # 실수형 변수 선언 a = 'Hello world!' # 문자형 변수 선언 - 변수 값의 데이터 타입 확인법 변수를 선언한 후 type()함수를 사용하면 변수값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 = 1 >>> type(a) >>> 변수 a의 값은 정수 1 이므로 integar(정수)의 약자 int가 변수 a의 데이터 타입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타입의 종류는 int(정수형), float(실수형), str(문자형) 등이 있습니다. - 파이썬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능 한 것들 숫자로 시작 불가 ex) 30a 밑줄문자(_)를 제외한 특수문자 사용 불가 ex) a&, a@, a- .. 파이썬 키워드 ..